반응형
TS-node
# build없이 ts실행해줄수 있게해주는 거! 개발환경에서 사용
npm i -D ts-node
npm i nodemon # 선택사항
# package.json 설정 후
npm run dev
package.json
"scripts": {
"build": "tsc",
"dev" : "ts-node src/index", // 설정 추가
// 노드몬 할경우
// "dev": "nodemon --exec ts-node src/index.ts",
"start": "node build/index.js"
},
프로젝트 빌드 후 실행 방법(비추 → ts-node 추천)
package.json
"scripts": {
"build" : "tsc",
"start": "node build/index.js"
},
// 이렇게 세팅해주고
npm run build && npm start
# 이렇게 실행해주면 바로 빌드되고 실행됨
첫 생성
# 폴더 생성 후
npm init -y
npm i -D typescript
# src 폴더 생성, 파일 만드는데 .ts로 생성
# 파일 이름 무조건 아래와 같이 해야함
# 그래야 vs code가 TS로 작업하는걸 알고 자동완성 등 도와쥼줌
touch tsconfig.json
# tsconfig.json와 package.json 세팅완료해주고
npm rum build
# 하면 TS -> JS 컴파일됨!
tsconfig.json
{
// js로 컴파일하고 싶은 모든 디렉터리를 넣어줘야함.
"include": ["src"], // TS가 src내의 모든 파일을 확인함
} "compilerOptions": {
"outDir": "build", // outDir는 JS 파일이 생성될 디렉터리 지정
"target": "ES6" // target은 어떤버전의 js로 ts를 컴파일하고 싶은지를 나타냄
"lib": ["ES6", "DOM"]
// lib은 js가 어디서 동작할지 알려줌(어떤 버전이 사용되는지 ex.es6지원하는 크롬)
// 'ES6'을 지원하는 서버와 'DOM'은 브라우저를 환경에서 코드 실행시킬 거라고 알려준것
// 여기에서 명시해주면 TS가 인식해서 메서드 선택지, 설명, 자동완성 등 제공함 WOW!!!
"strict": true // ts 가 보호해주도록 켜줌(실수보호)
"allowJs" : true // 말그대로 ts안에 js 허용
}
}
package.json
"scripts": {
"build" : "tsc" // 추가
}
반응형
'script > 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Doc, Definitely Typed(TS에서 JS로 만들어진 패키지 쓰기) (0) | 2023.01.11 |
---|---|
Typescript 인터페이스 (0) | 2023.01.09 |
typescript Classes(+abstract class, abstract method) (0) | 2023.01.08 |
Typescript polymorphism, generic (0) | 2023.01.08 |
Typescript call signatures, overloading (0) | 2023.01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