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Node.js/nest.js

module, controller 및 service 만들기(nest.js)

by devved 2023. 1. 12.
반응형
nest

위와 같이 나오는 nest 설명 참고하여

 

  1. 모듈 자동 생성하기
nest g module 모듈명
혹은 
nest g mo 모듈명

생성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파일 새로 생성되고,

app.module.ts에 자동으로 import 됨

 

 

2.controller 생성하기

nest g co 컨드롤러명
# generate controller

동일하게 nest가 알아서 controller 및 spec 파일 생성해준다!!

controller 생성과 함께 module파일 자동으로 업데이트 됨

controller에는 users라우팅 패스 자동 추가 !

 

 

3.service 생성하기

nest g s 서비스명

명령이 완료되면 service 파일 및 service.spec 생김

users.module.ts 자동 업데이트

import { Module } from '@nestjs/common';
import { UsersController } from './users.controller';
import { UsersService } from './users.service';

@Module({
  controllers: [UsersController],
  providers: [UsersService]             // 자동 업데이트
})
export class UsersModule {}

생성된 service.ts 파일

import { Injectable } from '@nestjs/common';

@Injectable()  // 스프링의 DI(Dependency Injection) 개념
// 즉, service를 사용할 곳에 선언해주면 자동으로 객체 생성해주는 역할
// => 객체 생성시 사용하던 new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짐
export class AppService {
  getViewName(): string {
    return 'Hello World!';
  }
}

controller파일 변경

import { Controller } from '@nestjs/common';
import { UsersService } from './users.service';

@Controller('users')
export class UsersController {
    constructor(private userService: UsersService){}; // 추가
}

 

반응형

'Node.js > nest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nest.js 환경변수  (0) 2023.01.15
nest.js 서비스 만들기(provider)  (0) 2023.01.14
Nest.js&ejs 연결해보기  (0) 2023.01.13
dto(Data Transfer Object) 및 옵션 세부설명(nest.js)  (0) 2023.01.13